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과학(CS)/컴퓨터 네트워크

(7)
HTTPS, HTTP3.0 https와 http3.0 부분을 읽어보았다. chat gpt에게 설명을 요구하면서 진행하였다. 그래야 그나마 덜 졸린 것 같은 느낌이다. https://chat.openai.com/share/d4c506b7-b8ed-414f-a9f1-83dc53232753 아직 검열해서 봐야할 내용이 있는 것 같다. 사이퍼 슈트는 프로토콜, AEAD 사이퍼 모드, 해싱 알고리즘을 나열한 것이다. http3.0은 udp를 사용해서 패킷 손실이 많다고 혼자서 추측하였는데? 알고보니 순방향 오류 수정 알고리즘 같은 매커니즘으로 인해 낮은 패킷손실률을 자랑한다는 것도 알았다.
HTTP 역사 CS책을 보다가 모르는 부분을 ChatGPT에 검색하면서 공부하면 잠도 덜오고 좋다,, 매우 단순하게 질문하여서 그런지,, 이해가 잘된다 https://chat.openai.com/share/5b8e8458-e37f-455f-b2cc-635aeec8b8bc ChatGPT A conversational AI system that listens, learns, and challenges chat.openai.com RTT = Round Trip Time 굉장히 많은 내용이 생략되어 있고 함축적이지만,, 무언가 더 적기에는 그냥 옮겨다 적은 느낌이기에 지속적으로 내용을 추가하도록 하겠다. 내일은 HTTPS를 볼 것이고 가능하면? HTTP3.0 정도까지 볼 생각이다. 아,, 내일 쉬고 토요일에 할 수 도 있을 ..
Arp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은 IP 주소로 MAC 주소를 알아내는 것이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하는데 IP 주소와 MAC 주소를 모두 알아야 하는 이유는 바로 캡슐화 때문이다. Arp 프로토콜은 28Bytes이다. Opcode는 요청: 1 응답: 2이다. Ar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MAC 주소를 알아오면 Arp 테이블에 갱신한다. 과정 1. 요청을 보낼 때는 MAC 주소를 모르기에 이더넷 프로토콜의 MAC 주소를 전부 1로 하고 Arp 프로토콜의 목적지 MAC 주소는 전부 0으로 채운다. 따라서 이더넷 프로토콜의 MAC 주소가 전부 1이기에 2계층 장비인 스위치에서 브로드 캐스팅한다. 2. 해당 장비에서 목적지 IP 주소가 장비의 IP 주소와 일치한다면 응답을 보낸다. 일치하지 않는 장비들은 해당 패킷에 응답..
3계층 프로토콜, IP 주소 3계층에서 하는 일 : 다른 네트워크 대역으로 데이터를 어떻게 전송할지 제어하는 역할, 발신측으로부터 수신측까지의 패킷 경로를 제어한다.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 :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대역의 크기를 명시 게이트 웨이: 다른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이며, 보통 가장 작은 값이나 가장 큰 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이러한 게이트 웨이를 설정하지 않으면 다른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할 수 없다. 3계층 프로토콜 IPv4 프로토콜: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 IP주소로 MAC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ICMP 프로토콜: 서로 통신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IP 주소 Classful IP 주소 A~E 클래스가 있으며, A 클래스: 0.0.0.0 ..
MAC 주소, 2계층 프로토콜 Ethernet 2계층: 같은 네트워크 대역 2계층에서 하는 일은 어떤 장비에서 어떤 장비로 데이터를 전달, 오류 제어, 흐름 제어를 한다. 2계층은 LAN에서 통신할 때만 사용하고 다른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 따라서 3계층 프로토콜과 3계층 주소가 있어야만 다른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할 수 있다. MAC 주소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는 MAC 주소이다. MAC 주소는 6Bytes이다. ex) AA:AA:AA:AA:AA:AA 앞의 3Bytes는 OUI로 제조한 회사의 식별 ID이고 뒤의 3Bytes는 고유 번호로 제조사에서 부여한 번호이다. 2계층 프로토콜 : LAN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Ethernet 프로토콜은 14Bytes이다. 목적지 맥주소 + 출발지 맥주소..
네트워크 모델, TCP/IP 모델, OSI 7계층 모델 TCP/IP 모델 : 현재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모음이다. OSI 7계층 모델: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OSI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데이터의 흐름을 각 구간별로 나눠 놓은것 7계층 : http, ftp, ssh 4계층 : tcp, udp 3계층 : ip, icmp, igmp, arp, rarp 2계층 : eternet TCP/IP 모델과 OSI 7계층 모델의 차이 공통점 :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이며 계층 간 기능을 정의하였다. 차이점 : 계층의 수, OSI는 역할 기반이지만 TCP/IP는 프로토콜 기반이다. OSI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이지만 TCP/IP는 데이터 전송기술에 특화되어 있다. 패킷은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로 네트..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네트워크: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 통신망 인터넷: 가장 큰 네트워크로, www랑 다른 것이다. www가 인터넷 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이다. LAN - local area network WAN - wide area network LAN과 LAN을 하나로 묶은 것이다.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가 연결된 Star형 하나의 장비에 연결되어 있기에 중앙 장비가 고장나면 모두 작업이 불가능하다. 여러 노드들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된 Mesh형 하나가 고장나도 다른 선을 통해 얼마든지 연결 가능하다. WAN에 주로 사용 실제 인터넷은 여러 형태를 혼합한 형태로 LAN + WAN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 유니캐스트: 특정 한 사용자와 통신, 1:1 멀티캐스트: 특정 다수와 통신, 1:N 브로드캐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