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p 프로토콜은 IP 주소로 MAC 주소를 알아내는 것이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하는데 IP 주소와 MAC 주소를 모두 알아야 하는 이유는 바로 캡슐화 때문이다.
Arp 프로토콜은 28Bytes이다.
Opcode는 요청: 1 응답: 2이다.
Ar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MAC 주소를 알아오면 Arp 테이블에 갱신한다.
과정
1. 요청을 보낼 때는 MAC 주소를 모르기에 이더넷 프로토콜의 MAC 주소를 전부 1로 하고 Arp 프로토콜의 목적지 MAC 주소는 전부 0으로 채운다. 따라서 이더넷 프로토콜의 MAC 주소가 전부 1이기에 2계층 장비인 스위치에서 브로드 캐스팅한다.
2. 해당 장비에서 목적지 IP 주소가 장비의 IP 주소와 일치한다면 응답을 보낸다. 일치하지 않는 장비들은 해당 패킷에 응답하지 않는다. 응답을 보낼 때는 목적지 MAC 주소가 확실하기에 해당 MAC 주소를 기입하고 Arp 프로토콜의 Opcode는 2로 한다.
3. 그 후 해당 내용이 테이블에 갱신되고 일정 기간 유지된다.
'컴퓨터과학(CS) >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 HTTP3.0 (0) | 2023.06.22 |
---|---|
HTTP 역사 (0) | 2023.06.15 |
3계층 프로토콜, IP 주소 (0) | 2022.05.12 |
MAC 주소, 2계층 프로토콜 Ethernet (0) | 2022.05.11 |
네트워크 모델, TCP/IP 모델, OSI 7계층 모델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