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 저것 공부/네트워크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라우드 AWS 네트워크가 모든 ip 자산의 기초가 된다. 간단하게 땅을 사서 건물을 짓는 것에 비유 AWS 가입 : 땅을 계약 AWS 가입 상태는 public한 상태이다. (public cloud) VPC(virtual private cloud) : 건물 subnet : 호실 서버(EC2) : 책상 VPC IP 대역대 : 빌라 주소 subnet IP 대역대 : 상세 주소 인터넷 : 바깥 세상 인터넷 게이트웨이 : 현관문 routing / router / routing table : 도어락 security group : 책상 잠금 3-tier 트랜젝션과 트래픽은 사이즈가 아니라 횟수를 세는 것이다. 서버를 직접 구매 -> 임대(IDC) -> 클라우드 3-tier Client Tier Web server -tomcat nginx - html, css Application Tier web application server [WAS] -java, python, c++, kotlin Data Tier DataBase DB url과 uri의 차이 제 글에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꼭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uri에서 네트워크상의 경로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자원이 어디 있는지 알려주는 것이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즉, 인터넷에 있는 자료의 id로 유일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주소 문자열로 특정 웹사이트에 이동되는 것이다. get 방식으로 id 값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근하므로 파일 위치가 아니라 url과는 다르다. 글로만 보면 제대로 이해가 가지 않으니 직접 예시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https://sondiaa.tistory.com/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2Fmanage%2Fpo..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