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과학(CS)/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 응용프로그램마다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관리

 

파일 시스템의 문제점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저장(무결성 유지 X)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 파일에 종속적(구조가 변경되면 프로그램도 재설계)

 데이터 파일에 대한 동시 공유, 보안, 회복 기능이 부족

응용프로그램 개발이 쉽지 않다.(종속적이기에 파일의 구조 등 기본적 데이터 관리 기능을 다시 파악해야 한다.)

 

주요 문제점

데이터 중복성 -> 저장공간 낭비, 무결성과 일관성 유지가 어렵다

데이터 종속성 -> 파일의 구조를 변경하면 응용프로그램도 함께 변경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를 DB에 통합하여 관리

 

주요 기능

정의 기능: DB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조작 기능: 데이터를 삽입, 삭제, 수정, 검색하는 연산을 할 수 있다.

제어 기능: 데이터를 항상 정확하고 안전하게 유지

 

장점: 독립성 확보, 중복 통제, 데이터 동시 공유, 무결성 유지, 개발 비용이 줄어듦

단점: 백업과 회복이 어려움, 중앙 관리로 인한 취약점, 비용이 많이 든다

 

발전 과정

1세대

네트워크 DBMS: 그래프 형태, IDS

계층 DBMS: 트리 형태, IMS -> 구조 변경이 어렵고, 현실을 표현하기 어려움

 

2세대

관계 DBMS: 테이블 형태로 구성, 오라클, mysql, ms sql서버, 액세스, 인포믹스

 

3세대

객체지향 DBMS: 객체를 이용해 DB 구성, 오투, 온투스, 젬스톤

객체관계 DBMS: 객체 DBMS + 관계 DBMS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관계 DBMS이다.

 

 

 

출처

데이터베이스의 원리와 응용 한양대 백현미교수님

'컴퓨터과학(CS) > 데이터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0) 2022.01.18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0) 2022.01.13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  (0) 2022.01.07
대칭키와 공개키  (0) 2021.09.01
키(key) 정리  (0) 2021.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