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ndiaa 2021. 8. 17. 23:01

환경변수 다루기(cross-env, dotenv)

npm i -D cross-env

-> cross-env NODE_ENV=dev node app (실행전 환경변수로  넘기는 방식)

npm i dotenv

-> 실행후 환경변수에 넘어옴 -> dotenv.config() -> .env

-> 파일 이름 직접 지정 -> dotenv.confing({path:"./config.env"})

환경변수접근-> process.env

 

 

express processing pipe line

req(요청)-> {미들웨어(메소드가 무엇인가 등을 구분) -> 라우팅(요청이 뭔지 논리적으로 구분)} ->res(응답)

 

미들웨어는 use 함수를 사용하고 라우터는 express.Router 객체를 사용한다.

응답은 get, post,(put,delet) 

 

개발환경 준비

npm i express dotenv

npm i -D cross-env nodemon

-D는 개발자설정

 

get

get method 처리 마지막 단계이다.

req는 미들웨어를 통해 처리된 요청 객체로 http 원본 요청 객체와는 다르다.

res는 응답 객체로 send, json, sendFile

 

매개변수 전달

query로 전달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http://localhost:8080/api/v1/adduser?name=Tommy&age=28

 

parameter(express)

http://localhost:8080/api/v1/addUser/name/Tommy/age/28

 

middle ware

req가 들어오면 middle ware를 거쳐서 최종 res 

use -> custom function  ,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적용

get,post-> 하나만 적용

 

use

use(패스명, 미들웨어함수)

use(패스명, [미들웨어 함수, ...])

 

post

전통적인방식-> SSR(서버 싸이드 랜더링) -> JSP(string), PHP ->NEXT.js->react,vue

-> 바디파서 미들웨어 -> express.urlencoded

web2.0 -> CSR(client side rendering) -> spa(single page app)

 

router

req->mw->res를 묶는 방법이다.

app과 거의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