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과학(CS)/데이터 베이스
필드와 튜플, 릴레이션, 속성, 도메인
sondiaa
2023. 7. 11. 21:22
https://chat.openai.com/share/10d3654f-fcbb-4217-a109-7f313b8c94a1
정리하면서도 꽤나 헷갈렸다 뭐가 뭘 나타내고 어떤 것이 비슷한 의미이고 같은걸 나타내는지 ,,,
결국 릴레이션은 테이블이며 레코드와 튜플로 구성되고 필드는 속성이고 도메인의 필드가 가지는 값의 집합이다.
또한 blob, enum, set 타입을 알게 되었고 timestamp가 왜 38년까지만 표현되는지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enum의 경우 가끔 알고리즘을 풀 때 방향을 보기 좋게하려고 사용했었어서 상대적으로 익숙했다.
blob의 경우 요즘은 blob을 사용하기 보다 s3 서비스를 통해 varchar 데이터 타입에 링크만 넘기는 식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라고 한다.
또한 유동적인 길이의 데이터는 char보다 varcha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