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과학(CS)/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모델, TCP/IP 모델, OSI 7계층 모델

sondiaa 2022. 5. 10. 23:34

TCP/IP 모델 : 현재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모음이다.

OSI 7계층 모델: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OSI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데이터의 흐름을 각 구간별로 나눠 놓은것

 

7계층 : http, ftp, ssh

4계층 : tcp, udp

3계층 : ip, icmp, igmp, arp, rarp

2계층 : eternet

 

TCP/IP 모델과 OSI 7계층 모델의 차이

공통점 :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이며 계층 간 기능을 정의하였다.

차이점 : 계층의 수, OSI는 역할 기반이지만 TCP/IP는 프로토콜 기반이다. 

OSI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이지만 TCP/IP는 데이터 전송기술에 특화되어 있다.

 

패킷은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로 네트워크에서 전달하는 데어터의 형식화된 블록이다.

이러한 패킷은 제어 정보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데 사용자 데이터는 페이로드라고도 한다.

 

패킷은 헤더, 페이로드 푸터로 나누어지는데 푸터의 경우 잘 사용하지 않는다.

 

캡슐화: 여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패킷을 보낸다.

디캡슐화: 프로토콜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데이터를 확인한다.

 

4계층 PDU : 세그먼트

3계층 PDU : 패킷

2계층 PDU : 프레임